Exhibition

Yun Suknam | The Blue Chime of Paper Flowers

윤석남 | 종이꽃의 푸른 종소리

INSTALLATION VIEW OF “The Blue Chime of Paper Flowers”,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THEO.

 

Paintings from Yun Suknam’s “well myth”

 

The art of 20th-century Korea was fervent in its desire to affirm the creativity and identity of “beauty” through the fountain of Western philosophy. Our modern art sought repeatedly to be validated by constantly “footnoting” the daffodil of Narcissus. However, for a long time, we have had a tradition that sought the essence of beauty not on the surface (the mirror) of the fountain, but through the depths (the well) of the fountain.

 

We pursued both the form (形) and the shadow (影) as a single aesthetic. To draw a parallel with portraiture, the form is the actual person to be depicted, while the shadow is the portrait of that person. When painting a portrait, the artist was obliged to describe the face with utmost care, as they had to capture both the form and the shadow as one. The human form is in constant flux. However, behind that form lies an immutable spirit unique to that person. The artist had to capture that spirit in the portrait. This is the “well myth”.

 

This is an ancient myth of aesthetics that sought to see the inner spirit that rose from the depths of the water, not just the surface of the fountain that reflected the “outside.” It is similar to a shaman’s ritual that connects the world of spirits with the real world, even though it is painted in a portrait. Yun Suknam’s creative methodology is rooted in this very “well myth”. The surface of the “mirror” myth cannot reach the depths of the artis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y she painted portraits of people on old and worn-out wood or paper. If one simply thinks of them as portraits of certain people, the depth of the work becomes very shallow.

 

As time passed, the artist’s contemplation expanded wider and deeper. She embarked on works that sought to release the resentment of comfort women and to relieve the pain of the ancient women who were forced into chastity. Even now, she continues to bring forth paintings of old narratives with remarkable passion in her studio. This leads me to think that the artist might be building her own grand temple of art—a temple called the 般若龍船(Prajna Dragon Boat)_ “A dragon boat that guides to the realm of wisdom that realizes the truth (Prajna)”, which moves from the ‘Sah-Bah-Sae-Gye’(娑婆世界) of this reality to the pure land of nirvana. On that Prajna Dragon Boat, the paper flowers of her paintings have blossomed. The exhibition “The Blue Chime of Paper Flowers” is the fleeting stage where Yun Suknam’s 般若龍船 (Prajna Dragon Boat) unfolds.

 

Where did the artist draw her inspiration for these portraits? Why did she insist on using wood as a canvas? What is the reason for recalling past memories? These questions and impressions are, in fact, no more than the “shallow depth” of the “mirror” myth. They are the result of focusing on the first impression that the artwork presents. However, when one looks at the artist’s works through the “well myth”, they feel completely different. The paintings contain a spirit, and when one stares at them for a long time, it feels as if the paintings speak to them.

 

For example, the artist stands a newly acquired piece of wood upright and waits for days or months. She waits without losing focus until the wood reveals itself in some way. Her attitude is akin to the Mongolian shaman tree that grows from water and earth and becomes a spirit of life. It is an artistic endeavor to penetrate the dry wood and bring forth a living, blue soul. The artist once said, “The wood feels like the skin of an old woman. If you leave the wood surface as it is and lightly sketch the outline of a face, it becomes a woman. I sometimes have conversations while drawing the face. When I finally draw the eyes (like adding the finishing touch), I strongly feel that the wood comes alive and becomes a woman.” With such feelings, she carves and paints the wood.

 

Written by Jong-gil Kim

 

INSTALLATION VIEW OF “The Blue Chime of Paper Flowers”,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THEO.

 

윤석남의 ‘우물’ 신화 속 그림들

 

20세기의 한국미술은 서구철학이라는 샘에서 ‘미(美)’의 창조성과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열광했다. 우리 현대미술의 미학을 나르키소스의 수선화에 빗대어 자꾸만 ‘각주달기’로 확인받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오랫동안 샘의 표면(거울)이 아니라, 샘의 심연(우물)을 통해 미의 실체에 이르고자 한 전통이 있었다.

 

우리는 꼴(形)과 그림자(影)를 하나의 미학으로 추구했다. 초상화에 빗대어 말하면, 꼴은 형상(形象)으로서 그려야 할 실제 인물이고, 그림자는 인물이 그려진 초상화다. 화가는 초상화를 그릴 때 얼굴을 ‘극진히’ 묘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꼴과 그림자의 모습을 ‘하나’로 담아야 했기 때문이다. 사람의 형상은 쉬지 않고 변한다. 그러나 형상의 배후에는 그 사람만이 가진 불변하는 정신(精神)이 있다. 화가는 그 정신을 초상화에 반드시 담아야 했다. 그것이 바로 ‘우물’ 신화다.

 

‘바깥’을 비추는 샘의 표면이 아니라 물밑 심연으로부터 올라 온 ‘안’의 정신까지를 보려 했던 미학의 오래된 신화. 초상화에 그렸을 뿐 그것은 샤먼이 영혼(靈魂)의 세계를 현실계와 접속하는 굿과 비슷하다. 윤석남 작가의 창작방법론은 바로 이러한 ‘우물’ 신화에 있다. ‘거울’ 신화의 표면으로는 작가의 심연에 가 닿을 수 없다. 왜 그가 낡고 오래된 나무나 종이에 인물들의 초상을 그렸는지 알아차리기 힘든 것이다. 그냥 그것이 어떤 사람의 초상화일 뿐이라고 생각한다면 작품의 깊이는 아주 얕아져 버린다.

 

작가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아 인물들을 그린 것일까? 그는 왜 굳이 나무를 캔버스 삼아 그림을 그렸을까? 지나간 기억을 떠올리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사실 이런 질문과 인상은 ‘거울’ 신화가 이루는 ‘얕은 깊이’ 에 다름 아니다. 작품이 내보이는 첫인상에 집중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물’ 신화로 작가의 작품들을 살피면 전혀 다르게 느껴진다. 그림이 정신을 품고 있어서 오랫동안 작품을 응시하면 그림이 말을 걸어오듯이 다가오니까 말이다.

 

예컨대 작가는 새로 들여온 나무를 세워두고 며칠 몇 달을 기다린다. 나무가 제 스스로 어떤 모습을 드러낼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기다리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물과 땅에서 자라나 생명의 신령이 된 몽골의 샤먼 나무처럼, 물기 하나 없는 마른나무 속으로 밀고 들어가 살아 오르는 예술로 푸른 영혼을 담아내는 작업으로 드러난다. 작가는 언젠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나무는) 늙은 여자의 피부 같아요. 나무표면을 손대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얼굴 윤곽을 슬쩍 그려 넣으면 여자가 되죠. 얼굴을 그리면서 대화를 나누기도 해요. (화룡점정을 찍듯이) 마지막으로 눈을 그리고 나면 나무가 살아서 여성이 되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요.” 그런 느낌으로 작가는 나무 조각을 하고 그림을 그렸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작가의 사유는 더 넓고 깊게 확장되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서는 위안부 여성들의 원통한 마음을 풀어주는 작업을 펼쳤고, 수절을 강요당했던 옛 여인들의 애달픈 삶의 현실을 살풀이했다. 지금도 작가는 작업실에서 놀라울 정도의 정열로 옛 서사의 그림을 탄생시키고 있다. 그래서 나는 ‘작가가 그만의 거대한 예술사원을 짓고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하곤 한다. 이곳 현실의 ‘사바세계’에서 피안의 극락정토인 반야세계로 나아가는 반야용선(般若龍船)이라는 사원을. 그 반야용선에 그림이라는 종이꽃이 활짝 피었다. ‘띠오’는 윤석남 작가의 반야용선이 펼쳐진 찰나의 무대다.

 

김종길 (미술평론가)

 

INSTALLATION VIEW OF “The Blue Chime of Paper Flowers”,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THEO.

WEB     INSTAGRAM

2024. 10. 5. (Sat) – 11. 8. (Fri)

TH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