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Midnight Walk

INSTALLATION VIEW “Midnight Wal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Baton.

 

Gallery Baton is pleased to present Midnight Walk, a solo exhibition by London-based artist Minyoung Choi(b. 1989), at its Hannam exhibition space from July 9 to August 9, 2025.

As an artist, Choi uses memories and images from her personal experiences to create surrealistic landscapes with free narrative structures where memory intersects with fantasy. The strange yet familiar scenes that appear in her work evoke visual illusions reminiscent of dream imagery, while creating subtle fissures in everyday experience. In the process, she presents the viewer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as she reveals the latent emotions and imagination in the cracks of reality.

Presented after the success of Choi’s Space K Seoul exhibition, Dreams for Hire(Dec. 12, 2024 – Feb. 23, 2025), this exhibition showcases her process of gradually expanding her worldview with narratives elicited from deep internal strata. Starting with figurative expressions that combine everyday memory with fragments of dreams, it proceeds to a deeper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ner consciousness, arriving at a unique aesthetic that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and imagination.

The exhibition forms a multilayered narrative through a combination of new and recent works set in unknown places and times. The use of blue and green as main colors creates the supernatural mood of a new time and space, while the curious movements of creatures above and below the water’s surface evoke a powerful visual impression. An example of this is Sleepless Nights (2025), where a large pair of twin cats appears alongside an owl, a crab, and fish in a misty forest scene at the dead of night. The animals’ gaze is directed outside the canvas as they confront the viewer, eliciting the tense feeling that they might approach at any moment. The deep blue air reflecting the moonlight suggests that the scene’s setting may be underwater, while the clear forms create a complex form of mythology as they allude to the dual nature of being. Choi evokes different sensory layers as she forms a mysterious narrative on the boundary where reality intersects with unreality, space with time, and consciousness with the unconscious.

 

The creatures that appear repeatedly in Choi’s work—including owls, cats, rabbits, turtles, carp, and catfish—hold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hough familiar, they present themselves in disparate ways in unexpected settings, functioning as a form of dépaysement: a visual transition toward what André Breton referred to as a “pure internal model.”

With their juxtapositions of contradictory elements, the images appear to present someone’s dream, eliciting a poetic immersion with the spreading of mystical light. Indeed, light functions as a key element in Minyoung Choi’s work. Different light sources—from moonlight and twilight to artificial forms of illumination—determine not only the compositions of her work but also the rhythms associated with their viewing. In Dear Storm (2025), soft light surrounds young fish and snowman figures in a pond setting, capturing a moment of communion with life. The silent gestures amid the falling snow and the faceless gazes clearly show the essence of pure emotion. Another work, Nighttime Bathing (2025), juxtaposes cold winter air with a pond teeming with life and a family of turtles in its waters, visualizing the contradictory sense associated with the coexistence of differing elements. As they take the viewer on a journey of emotions that are strange yet familiar, these images guide them to swim through a scene of inner memory and fantasy.

▣ About Artist
Minyoung Choi enhances the surreal atmosphere by dramatically framing the edited scenes in a multi-layered structur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with her unique expression of light and color. As in the Dépaysement technique, countless images drawn from the artist’s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emotion are combined with a provocative imagination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reality. She creates her own fantasy in which the familiar and the strange overlap in a paradoxical way, arbitrarily borrowing from Eastern and Western myths, fables and common oral stories. Memories and imagination are intertwined with a sense of anxiety and chaos, leading to an ephemeral inner landscape, where space and place, human and animal, city and nature merge to form a new world.

Minyoung Choi lives and works in London. She received her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pain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 master’s degree from the Slade School of Fine Art. She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Space K in Seoul (2024); Hive Center for Contemporary Art in Beijing (2023), Olvera Contemporary Art Centre (2017) and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Sixi Museum in Nanjing(2023); Daejeon Creative Center of Daejeon Museum of Art (2023). Choi was awarded the Next Generation Art Prize at the 2018 Wells Art Contemporary Award and was selected for residencies at the Slade Summer School and the Olvera Contemporary Art Centre in 2017.

 

INSTALLATION VIEW “Midnight Wal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은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최민영(b. 1989)의 개인전 《Midnight Walk》을 7월 9일부터 8월 9일까지 한남동 전시 공간에서 개최한다. 최민영은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된 기억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기억과 환상이 교차하는 자유로운 서사 구조로 초현실적인 풍경을 그려낸다. 그녀의 작업에 등장하는 낯설고도 익숙한 장면들은 꿈속의 이미지처럼 시각적 착시를 유도하며, 일상의 틈새에 미묘한 균열을 일으킨다. 이는 현실의 틈새에 잠재된 감정과 상상을 드러내며, 우리에게 또 다른 시선을 제안한다.

이번 전시는 스페이스K 서울 개인전 《꿈을 빌려드립니다》(2024.12.12~2025.02.23)를 성공적으로 마친 작가가, 내면 깊숙한 층위에서 길어 올린 서사를 따라, 작가는 자신만의 세계관을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여정을 보여준다. 일상의 기억과 꿈의 파편을 결합한 구상적 표현에서 출발하여, 점차 심화한 사적 경험과 내면 의식의 차원으로 나아가며, 감각과 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고유한 미학으로 귀결된다.

전시는 미지의 장소와 시간을 배경으로 하는 신작 및 근작을 통해 다층적인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주조색으로 활용된 파랑과 초록은 새로운 시공간의 초자연적 분위기를 조성하며, 수면 위아래로 교차하는 생명체들의 기묘한 움직임은 강한 시각적 인상을 남긴다. 예를 들어, Sleepless Nights (2025)에서는 안개 자욱한 심야의 숲속에서 거대한 쌍둥이 고양이, 올빼미, 게, 물고기 등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은 캔버스 밖을 향한 시선으로 관람자의 존재를 직시하며, 마치 언제든 다가올 듯한 긴장감을 자아낸다. 달빛이 비치는 검푸른 공기는 이 장면이 수중일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유도하고, 뚜렷한 형상들은 존재의 이중성을 암시하며 복합적인 신화를 구성한다. 작가는 현실과 비현실, 공간과 시간,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는 경계 위에서 신비로운 서사를 형성하고, 감각적 층위를 자극한다.

작품 속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올빼미, 고양이, 토끼, 거북이, 잉어, 메기 등은 동서양 문화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 존재들이다. 이들은 익숙하면서도 이질적인 방식으로 예기치 않은 장소에 등장하며, 이는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이 말한 ‘순수한 내면의 모델’에 접근하는 하나의 시각적 전환, 데페이즈망(dépaysement)으로 작용한다.

모순된 요소들이 병치된 화면은 누군가의 꿈을 펼쳐 보이듯, 신비로운 빛의 확산과 함께 시적인 몰입감을 자아낸다. 이때 ‘빛’은 최민영 작업의 핵심 요소로 기능한다. 달빛, 석양, 인공광 등 다양한 광원은 작품의 구성뿐 아니라 감상의 리듬을 결정짓는다. Dear Storm (2025)은 부드러운 빛으로 연못 속 어린 물고기들과 눈사람 형상의 존재를 감싸며, 생명과 교감하는 순간을 포착한다. 내리는 눈 속에서의 무언의 몸짓과 얼굴 없는 시선은 순수한 감정의 핵심을 맑게 드러낸다. 또 다른 작품인 Nighttime Bathing (2025)은 차가운 겨울 공기, 생명력 넘치는 연못, 그리고 그 안의 거북이 가족을 병치하며, 이질적인 요소들의 공존이 주는 역설적인 감각을 시각화한다. 이 이미지들은 관람자로 하여금 낯설고도 익숙한 감정의 여정을 따라가게 하며, 내면의 기억과 환상 속을 유영하도록 이끈다.

최민영은 서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영국 슬레이드 미술학교(Slade School of Fine Art)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후 런던에 머무르며 작업하고 있다. 스페이스K 서울(2024), 베이징 하이브 현대미술센터(Hive Center for Contemporary Art, Beijing, 2023), 올베라 현대미술센터(Olvera Contemporary Art Centre, 2017)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쓰시 미술관 (Sixi Museum, 2023),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창작센터(2023)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해왔다. 작가는 2018년 웰스 아트 컨템포 러리 어워드(Wells Art Contemporary Award)에서 차세대 미술상(Next Generation Art Prize)을 수상했고 2017년 슬레이드 서머 스쿨 레지던시와 올베라 현대미술센터 레지던시에 선정되었다.

 

Minyoung Choi, Fish Mother, 2025, oil on linen, 170 x 220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Baton.

 

WEB     INSTAGRAM

2025. 07. 09. (Wed) – 08. 09. (Sat)

Gallery Ba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