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JUNG Soo jung & KWON Ahram & SHIH Yung Chun | -Director

정수정, 권아람, 시용춘 | -Director

INSTALLATION VIEW OF “-Director”,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KICHE

 

From August 29 to September 28, KICHE holds a group exhibition, -Director, featuring artists KWON Aram Kwon, SHIH Yung Chun, and JUNG Soo Jung. This exhibition focuses on the attitude and working methods of the artists as “directors.” Here, “director” means, deciding on a ‘repertoire’, choosing narratives, practice structures, and materials, and designing the entirety of the drama, including the direction and composition that fit it, to create a visual product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This practice is deeply connected to how the artist establishes and approaches the relationship with the viewer based on his or her own perspective and worldview.

In The Theatre and Its Double, a collection of essays by French poet and playwright Antonin Artaud, he explains his position on theater and art in his manifestos for a “Theatre of Cruelty,” which is worth examining in the context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viewer.” Opposing masterpieces, he believed that theater used in the most difficult and best sense possible has the power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ings and their appearance and proposed “Theatre of Cruelty.” To him, it means, above all, that theater is difficult and cruel; “on the level of performance, it is not the cruelty we can exercise upon each other by hacking at each other’s bodies, carving up our personal anatomies … but the much more terrible and necessary cruelty which things can exercise against us. We are not free. And the sky can still fall on our heads. And the theater has been created to teach us that first of all. […] I propose that the means and images that stimulate ecstasy through theater return to the idea of ​​physical perception.”*

In this exhibition, the three artists navigate freely through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virtual, searching for materials for their work, giving them symbol values, and decorating the stage with their own unique methodologies. During these processes, they thoroughly project their perspectives and directorial approaches.

KWON Ahram critically examines the media network that spreads out like a dense spider web across almost every corner and moment of daily life. Increasingly, screens have dismantled their physical form – divided into minute units and penetrated into layers that we had not even imagined. The on/off switch that allows the user to intervene and control stimulation is ever more cleverly hidden while penetrating into the physical and inner worlds delicately and persistently like fog. In this sense, it is probably impossible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rough one’s free will by specifically recognizing the place, time, and method of exposure, as we have now reached a point where we are trying to send advertisements into space using satellites.

Double Wall is an extension of the works combining screens and mirrors, with five screens tied together. When the viewers enter the exhibition space where the work is installed, they are met with the discontinuously flashing light without any warning, explanations to induce assimilation, or steps in between. It is impossible to know where and how it starts, or what is behind the flashing wall. The mirror reflects the object in front of it, but at the same time, repels it. The viewers are helplessly placed on a path that repeats endlessly without an exit, as if they are sucked into a Möbius strip.

SHIH Yung Chun’s work begins with old magazine images, furniture, and toys that he collected or discovered. He freely reconstructs the “objects” surrounding him that encompass the past and the present. In doing so, he maintains a complex structure of installation, video, sculpture, painting, and short stories, and does not set any set rules. As seen in Kitchen, the artist builds shelves, objects, and figures himself based on a single magazine photo, or, as in Private Hotel, creates an unfinished dollhouse painting from his previous work into a large-scale, site-specific installation. In the main work, Private Hotel, the artist actively intervenes in the way of viewing and movements by placing a dollhouse in the center of a room surrounded by mirrors, blocking the front with a wall, and allowing the inside to be seen only through either a small hole at waist height or from the second-floor railing.

Fairy tales and fables made for children are never innocent. The values ​​and ideologies inherent in the history of rise and fall that humans have experienced as members of social groups are not fixed as one, but vary significantly in each cultural sphere. In fact, they are exaggerated narratively. This complex aspect of “toys” has been a constant subject of interest to artists for a long time. In that context, the scenes created with and drawn from toys and objects collected or handmade by the artist symbolize unrealistic dreams or a type of loss that resides in him – and us – wandering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reality and the ideal.

JUNG Soo Jung‘s references to the West and the East densely compose a dual canvas that seems familiar yet unfamiliar. The various icons that the artist usually collects and summons are symbols in themselves. At the same time, by blending them together, she creates a narrative that alternates betwee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These scenes seem to converge into one large worldview, but they are always inconsistent and disjointed. The viewers, while drawn in by the familiar icons, cannot easily immerse themselves or become assimilated into the scene. When they stand in front of her paintings, like in Brecht’s plays, one must take a step back before the story unfolds in order to finally converse with the work.

Newly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the ‘tropical painting’ series starts from an interest in certain styles and types revealed in natural objects. The three works, Tropical GamesMy Juggler, and Shell and Tango, form a triptych to bring together various elements such as nature, women, nymphs, and animals, and actively use repetition and patterns to connect and balance. Starting with a turtle with a hard shell and slippery skin, it continues into various species of plants and animals that have survived through evolution, and introduces a fictional character. The artist depicts the dynamic power of nature through her painting style and perspective. In addition, images such as FarewellMy Old Friend, and Harvest, which mix the faces of people and animals, stand out as new attempts by the artist as they are portraits that borrow from the Japanese Ukiyoe artist Utagawa Kuniyoshi’s personification of animals.

The attitude and direction of the “director” that the three artists each take in their work are distinct. However,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hat rather than inducing immersion or assimilation, they intentionally create distance or difficulties for the viewer. In effect, the viewer is not overly swept away by the visual sensations but rather given the space to stand before these works with a cool head, just as on the stage of the “Theatre of Cruelty” that Artaud proposed.

Curated/Written by Duhyun Yun (Director of KICHE)

*Artaud, Antonin. Theatre and Its Double. Seoul, Jimanjidrama, 2021, 144-146 (Translation in Korean).

 

INSTALLATION VIEW OF “-Director”,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KICHE

 

기체는 권아람, 시용춘, 정수정 작가가 참여하는 기획전 <<-Director>>를 8월 29일부터 9월 28일까지 갖는다. 이번 기획전시는 작가들이 취하고 있는 ‘연출자’의 태도, 작업 방식을 중심 키워드로 삼고 있다. 여기서 ‘연출자’란 거칠게 압축하면, 작가의 관점에서 ‘레퍼토리’를 정해 서사와 작업형식, 재료를 선택하고, 그에 걸 맞는 연출 방향, 구성 등 극의 총체를 디자인함으로써 가시화된 결과물로 내놓는 것을 말한다. 이는 곧 작가 고유의 관점, 세계관을 바탕으로 감상자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접근해갈 것인지와 깊이 맞닿는다.

앙토냉 아르토(Antonin Artaud)가 쓴 잡지 기고, 편지를 모아 펴낸 『연극과 이중』에서 그가 취하고 있는 연극, 나아가 예술에 대한 입장을 피력하며 제시한 ‘잔혹연극’은 ‘감상자와의 관계 설정’이라는 맥락에서 뜯어 살펴볼만하다. 아르토는 걸작에 반대하면서 가능한 한 가장 어렵고, 최상의 의미에서 사용된 연극은 사물의 형성과 그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있다고 믿으며, ‘잔혹연극’을 제안했다. 그에게 ‘잔혹연극’은 무엇보다 연극이 어렵고 잔혹한 것을 뜻한다. 그러나 “잔혹은 공연 차원에서 신체나, 인체모형 절단처럼 반목해 즉물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물들이 우리에게 대항하여 실천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무섭고 필연적인 어떤 것이다. 우리는 자유롭지 않다. 하늘은 언제든지 우리 머리 위에 떨어질 수 있다. 연극은 무엇보다도 이를 이해시키기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 나는 연극을 통해 황홀경을 자극하는 수단들과 이미지들이 신체적 인식의 이념으로 되돌아갈 것을 제안한다.”*

이번 전시에서 세 작가는 과거와 현재, 현실과 가상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작업의 소재를 찾고, 상징성을 부여해 특유의 방법론으로 무대를 꾸려 작가의 관점 또는 연출자적 태도를 짙게 투영한다.

권아람 작가는 일상의 거의 모든 장소와 시간에 걸쳐 촘촘한 거미줄처럼 펼쳐진 미디어 네트워크를 회의적으로 사유한다. 점점 더 스크린은 그 물리적 형태를 해체하고, 미세 단위로 분화해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층위까지 스며들어 있다. 주체가 개입해 자극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는 더 교묘하게 감춰지고, 안개처럼 섬세하고도 집요하게 삶과 정신세계의 내부로 파고든다. 노출되는 장소, 시간, 방식을 구체적으로 인지해, 주체의 자유의지로 환경을 조절하는 것은 이제 위성으로 우주에 광고를 띄우려는 상황에까지 이르고 있는 터라면 아마도 불가능한 일이 될 것이다.

<이중벽>은 스크린과 거울이 결합된 작품들의 연장선에 있는 작업으로 다섯 개의 스크린이 하나로 묶여 있다. 감상자는 작품이 설치된 방에 들어서면 아무런 사전정보나 동화를 유도하는 설명 또는 과정 단계 없이 곧바로 빛의 불연속 점멸에 노출된다.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는지, 그 점멸하는 벽 뒤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다. 거울은 앞에 선 대상을 반영하지만, 동시에 밀어낸다. 감상자는 에셔 그림의 뫼비우스 띠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 출구없이 무한 반복되는 한 길목에 속절없이 놓이게 된다.

시용춘의 작업은 직접 수집해왔거나, 새로 발견하게 된 옛날 잡지 사진, 가구, 장난감 등에서 시작된다. 그는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자신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객체’들을 자유롭게 재구성한다. 이를 위해 설치, 영상, 조각, 회화, 단편 소설 등 복합적인 작업 형식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규칙을 따로 두지는 않는다. <KITCHEN>에서 보듯 한 장의 잡지 사진을 바탕으로 선반, 오브제, 인물을 작가가 직접 제작하거나, <Private Hotel>처럼 이전에 작업했던 미완성 돌 하우스(doll house) 회화를 대형의 장소 특정적 설치작업으로 발전시키기도 한다. 메인 작업인 <Private Hotel>은 거울로 둘러싼 방 중앙에 인형의 집을 배치하고, 앞을 벽으로 막아 허리춤 높이의 작은 구멍과 2층 난간을 통해서만 내부를 들여다보도록 해 감상 방식과 통로를 작가가 적극 간섭한다.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진 동화나 우화는 결코 순수하지 않다. 인간이 사회집단의 일원으로서 지나쳐온 영욕의 역사에 내재된 가치관과 이데올로기들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문화권마다 다르게 해석, 변주되며 오히려 더 노골적으로 반영돼 있다. 이미 오래 전부터 예술가들에게 ‘장난감’이 지니는 이런 복합적인 측면은 꾸준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런 맥락에서 작가가 수집하거나, 손수 만든 장난감, 오브제들로 만들고 그려낸 장면들은 현재와 과거, 현실과 이상 사이를 배회하고 있는 그와 우리의 내면에 자리한 비현실적인 꿈 또는 어떤 상실이다.

정수정의 서양과 동양을 오가는 참조들로 익숙하지만 낯설게 보이는 이중적인 화면을 촘촘하게 구성한다. 작가가 평소 모아뒀다가 화면 위로 불러들인 갖가지 도상들은 그 자체로 상징성을 표출하거나, 한 데 어우러짐으로써 연속, 불연속을 오가는 서사적 장면을 만들어낸다. 이 장면들은 하나의 큰 세계관으로 수렴하는 듯하면서도, 늘 일치되지 않고 어긋난다. 감상자는 익숙한 도상에 이끌려 화면 앞에 서면서도 장면에 쉽게 몰입하거나, 동화될 수 없다. 그의 그림 앞에 서면, 브레이트의 연극처럼 이야기의 결이 펼쳐지기도 전에 한 걸음 뒤로 물러서야만 비로소 작품과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소개하는 ‘열대 회화 시리즈’는 자연물에서 드러나는 일정한 양식과 유형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삼면화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는 세 작품 <Tropical Games>, <My Juggler>, <Shell and Tango>는 자연, 여성, 님프, 동물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한 데 어우러지도록 하고, 또 반복과 패턴을 적극적 수단으로 삼아 화면 간 연결, 균형을 꾀한다. 딱딱한 껍질과 미끄러운 피부를 가진 거북이에서 출발해, 진화를 거듭하며 생존하고 있는 여러 종의 동식물들로 이어지고 가상의 인물과 조우한다, 자연의 역동적인 힘을 작가의 화법과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 <Farewell>, <My Old Friend>, <Harvest> 등 사람과 동물의 얼굴이 뒤섞인 이미지는 일본 우키요에 화가 우타가와 쿠니요시(Utagawa Kuniyoshi)의 동물을 의인화하는 방식에서 참고한 초상화들로 작가의 새로운 시도가 돋보인다.

세 작가가 작업에서 취하고 있는 ‘연출자’의 태도, 방향은 저마다 다르다. 하지만 몰입이나 동화를 유도하기보다, 오히려 감상자와의 거리나, 일정의 어려움을 의도해 조성한다는 점에서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감상자는 시각적 감흥에 과도하게 휩쓸리지 않고, 마치 아르토가 제안했던 ‘잔혹연극’의 무대처럼 이들 작품 앞에 차가워진 머리로 서 있게 된다.

기획/글. 윤두현(기체 디렉터)

*앙토냉 아르토 『연극과 그 이중』, (지만지드라마 2021) 144 ~146p. 발췌 인용

INSTALLATION VIEW OF “-Director”, 2024, Courtesy of the Artist and KICHE

WEB     INSTAGRAM

2024. 8. 29. (Thur) – 9. 28. (Sat)

KI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