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nghyun Park / WWNN

박종현
1996
South Korea

Jonghyun Park’s practice investigates the residual trac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trauma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His work interrogates the clustered state of imagery, positioning painting as a site for symptomatic expression rather than mere representation. By navigating the interstices between narrative structures and the pictorial surface, Park critically engages with the historical and conventional frameworks that define contemporary painting.
His work addresses the conceptual and ontological dilemmas inherent in contemporary painting, expanding its linguistic potential while questioning the limitations of visual representation. Rather than a straightforward depiction, his canvases function as arenas for examining the conditions of image production and reception. By d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surface and depth,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Park emphasises the discursive nature of painting, establishing a nuanced dialogue between visuality and conceptual inquiry.

박종현은 회화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기억 속에 새겨진 내상과 흔적을 탐색하며, 이미지가 형성하는 군집적 상태를 해석하는 데 관심을 둔다. 그는 회화를 단순한 재현의 도구로 보지 않고, 이미지가 지닌 징후적 속성을 드러내는 매개로 활용한다. 그의 작업은 이미지의 표면과 그 이면에 존재하는 서사적 층위를 교차시키며, 회화가 내포하는 관습과 역사적 맥락을 성찰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그는 특히 현대 회화가 직면한 본질적 문제와 그에 따른 개념적 논의를 작업의 중심에 두고, 회화의 언어적 가능성과 시각적 재현의 한계를 확장하는 시도를 지속한다. 그의 화면은 단순한 시각적 묘사가 아니라 이미지가 생성되고 소비되는 과정 자체를 탐구하는 장(場)으로 기능하며, 회화가 서사의 공간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한다. 이를 통해 그는 이미지와 기표, 표면과 내면, 재현과 비재현의 관계를 회화적 구조 속에서 해체하고 재구성하며, 회화가 가지는 담론적 성격을 더욱 강조한다.

back to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