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jamin Swaim

1970
France

For the second edition of Art ONO Seoul, Benjamin Swaim presents a new series of simple gestures exploring the enigmatic realm of make-up. They invite the viewer into a dissolved world of delineating absence and presence.  Through a carefully restrained palette of bold and bright hues centring on a unique and idiosyncratic figure in an interior, a bathroom, or an event alluding to the notion that something has taken place, or is about to happen.  The figure is facing the mirror looking at oneself, their appearance, their allure, questioning their reflection. Tantalising impressions resonant beyond the paintings immediate viewing for further contemplation.  

Swaim´s oeuvre is a poignant reminder that humans are worthy of love and affection even in times of feeling incomplete and broken. 

Returning to a classic heavyweight in literature, Ernest Hemingway once stated, in our darkest moments, we  don´t need solutions or advice. What we yearn for is simple human connection – a quiet presence, a gentle touch.

제2회 ART OnO 서울에서 벤자민 스웸(Benjamin Swaim)은 메이크업 장면을 묘사한 새로운 회화 시리즈를 선보입니다. 이 작품들은 관객을 부재와 존재 사이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강렬하고 선명한 색조와 실내 와 욕실의 공간의 고독한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 회화들은 어떤 일이 있었거나 곧 일어날 것임을 암시합니다. 그 인물은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비쳐진  이미지와 외모에 의문을 가집니다. 이렇게 시선을 끄는 이미지는 첫인상을 넘어 깊은 사색으로 우리를 이끕니다.

벤자민스웸 작품은 인간이 상처를 받거나 감정이 불완전한 순간에도 사랑과 애정을 받을 수 있음을 강하게 상기시킵니다. 중요 문학작가인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가장 어두운 순간에 인간은 조언이나 해결책이 아니라 단순한 인간적 접촉으로 부터 , 조용한 존재, 부드러움을 갈망한다고 말했습니다.

1970년 파리에서 프랑스와 미국인으로 태어난 벤자민스웸은 현재 파리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의 개인전으로는Treignac Projet, Palette Terre, Palais de Tokyo, CRAC Montbéliard , Jean Brolly Gallery 등이 있으며, 단체전으로는 Noisy le Sec 예술센터, CIAC Vassivière , Francesca Pia, Air de Paris 갤러리등이 있습니다. 2024년에는 Michel Nelssim Boulkris 상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파리 현대 미술소장소, 파리 시립 미술관, FNAC 프랑스 국립 현대 미술 소장소 , Alsace , Poitou-Charente, Limousin 등 지역 현대 미술관 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back to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