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

INSTALLATION VIEW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WWNN.

 

Human beings have always approached us as questions. In moments of friction within society, we tend to read them as problems to be solved. Yet such ruptures are not personal flaws; they reveal tensions generated by the systems, expectations, and structures that shape collective life. The French philosopher Gabriel Marcel articulated this duality through the notions of problèmè and mystèrè. A problem can be analyzed and resolved from the outside. A mystery, however,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participation and by living within it. Love or death resists explanation and demands experience, and so does the human condition. This exhibition reflects on that threshold.

Jaehong Ahn’s work begins with the sensory and perceptual coordinates of the body. Moving between proximity and distance, he traces gestures, desires, and dreamlike residues that hover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His restrained surfaces hold quiet ruptures, which subtly disclose instability beneath calm structure. Within this tension, Ahn considers the fragile balance of coexistence, even amid solitude and conflict. Where perception, memory, and matter intersect, his paintings reveal the inner vibration of being.

Jeffrey Chong Wang, by contrast, constructs layered psychological and historical imagery. Figures from distinct eras and contexts converge on his canvas: Tungusic hunters outside Yongdingmen, rebels in Taoranting Park, elderly dancers, schoolchildren rowing along riverbanks, the Great Vajradhara of Beihai Park, laborers cycling against the wind. These scenes reference imperial power, early socialist ideology, Vajrayana cosmology, and the narrative arc of personal development. More recently, Wang has focused on intimate portraits of those around him, presenting them as individuals responding to the world with a posture of feigned madness, echoing the eccentric or concealed sage. In gestures that move between awkwardness, humor, and bravado, his figures expose a human mixture of anxiety and absurdity.

Together, Ahn and Wang articulate distinct yet parallel inquiries. Ahn’s practice attends to the sensory and material registers of being, while Wang’s works navigate memory, ideology, and psychological depth. Their approaches converge where rational explanation gives way to affect, and where understanding must be felt rather than deduced, aligning with Marcel’s notion of mystèrè.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 reflects on how we encounter humanity where interpretation reaches its limit. It considers the human being both as a problem shaped by social orders and as a sensory and enigmatic presence that escapes those logics. In the works of these two artists, these opposing dimensions coexist rather than resolve. Viewers stand at the threshold where problem and mystery intersect, sensing humanity not as a finished idea but as a layered, incomplete, and continually unfolding condition.

 

INSTALLATION VIEW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WWNN.

 

인간은 언제나 질문으로 다가온다. 사회 속에서 충돌하고 흔들리는 순간, 그는 해결해야 할 문제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균열은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인간이 속한 제도와 질서, 규범이 만들어낸 구조적 긴장의 징후다. 프랑스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 Gabriel Marcel은 이러한 인간의 이중적 성격을 문제(problème)와 신비(mystère)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문제는 외부에서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상이지만, 신비는 참여를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다. 사랑과 죽음이 설명이 아닌 체험 속에서만 이해되듯, 인간은 언제나 문제와 신비의 경계에 존재한다. 본 전시는 그 경계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조건을 탐색한다.

안재홍과 왕 총 제프리의 작업은 서로 다른 지점에서 이 긴장을 드러낸다.

안재홍은 신체의 감각과 인식이 닿는 주변의 물질성과 환경을 회화적으로 탐구한다. 그는 일상의 물리적 범위 안에서 밀착된 시점과 멀어진 시점을 유연하게 오가며, 신체의 흔적과 내면의 열망, 꿈의 형상을 추적한다. 그의 화면은 고요하면서도 균열과 불안을 품고 있으며, 절대성의 붕괴를 은유한다. 그러나 그 속에서 작가는 여전히 고요한 균형을 유지하고, 고립과 충돌 속에서도 공존의 가능성을 사유한다. 그의 회화는 감각과 사유, 현실과 환영이 중첩되는 지점에서 인간이 지닌 내면의 긴장을 가시화한다.

반면 왕 총 제프리 Jeffrey Chong Wang의 회화는 역사와 사회 속 인간의 내면을 다층적 이미지로 구성한다. 그의 화면에는 서로 다른 시대와 맥락의 인물들이 교차한다. 영정문 바깥의 퉁구스인, 타오란팅 공원의 반역자, 공원에서 춤추는 노인, 물가를 가르는 어린 학생들, 북해공원의 대위덕금강, 맞바람 속에서 출근하던 노동자들. 이러한 장면들은 제국 권력, 사회주의 초기, 금강승 전통, 개인의 성장 등 다양한 층위를 가리키며 충돌과 중첩 속에서 새로운 서사를 형성한다. 최근 작가가 주변 인물들의 초상으로 시선을 좁히는 과정에서, 이들은 외부 세계에 대한 무력감과 그 속에서의 태도, 즉 일종의 가장된 광기佯狂로 응답한다. 어색함과 우스꽝스러움, 허세가 교차하는 몸짓 속에서 인간의 유머와 불안이 동시에 드러난다.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언어로 인간의 조건을 응시하지만, 공통적으로 설명을 넘어서는 차원을 향한다. 안재홍의 회화가 감각과 물질의 경계를 통해 존재의 체험을 탐색한다면, 왕 총 제프리의 회화는 역사와 기억의 잔상을 통해 내면적 서사를 구축한다. 이 두 관점은 분석을 넘어 감각으로 나아가며, 마르셀이 말한 신비의 영역으로 관객을 이끈다.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은 결국 해석의 한계를 마주하는 자리에서 인간을 다시 바라보는 시도다. 사회적 질서 속에서 문제로 등장하는 인간, 그리고 그 논리를 벗어난 감각적이자 신비한 존재로서의 인간. 두 작가의 작업은 이 상반된 차원들이 공존하는 장면을 포착하며, 그 사이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묻는다. 관객은 이들의 회화 앞에서 문제와 신비가 교차하는 경계 위에 서게 되고, 그 자리에서 인간의 다층적이고 불완전한 존재성을 감각하게 된다.

 

INSTALLATION VIEW “PROBLEM AND MYSTERY: THE HUMAN CONDITION”,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WWNN.

 

WEB     INSTAGRAM

2025. 11. 08. (Sat) – 2025. 11. 29. (Sat)

WWNN